2분기 제조업 재고지수 18.0% 증가, 4분기 연속 상승
생산 급감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기업 재고가 대외변수에 따른 일시적 조정이 아닌 경기침체의 여파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기업 활동으로 본 최근 경기 상황 평가’ 자료에서, “지난 2분기 산업활동동향의 제조업 재고지수 증가율(계절조정 전년동기대비)이 18.0%를 기록해 분기별 수치로는 지난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2분기(22.0%) 이후 26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했다”고 밝히면서, “재고는 경기 변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늘어나고 줄어들게 마련이지만 최근 재고 증가 흐름은 작년 2분기를 저점으로 4개 분기 연속 상승하는 이례적인 모습이다. 이처럼 분기 기준으로 장기간 재고지수가 상승세를 보인 것은 2017년 이후 4년만에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서로 다른 양상의 증감율을 보였다. 재고지수 상승은 동일했으나 증감폭에서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작년 2분기 대기업의 재고지수 증감률이 -6.4%에서 올해 2분기에는 22.0%로 치솟았으나, 중소기업의 경우 1.2%(’21년 2분기)에서 7.0%로(’22년 2분기) 상대적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대한상의의 자료에 따르면, 대기업의 재고자산은 작년 2분기 61조4770억원에서 올해 2분기 89조1030억원으로 증가해 중소기업 재고자산의 증가분(7조4370억원 → 9조5010 억원)을 압도했다.
제조업 전체로는 작년 2분기 대비 올해 2분기 재고자산이 39.7% 증가했으며, 세부 업종별로는 ‘비금속 광물제품(79.7%)’, ‘코크스·연탄 및 석유정제품(64.2%)’,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58.1%)’, ‘1차 금속(56.7%)’ 등의 재고자산 증가율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재고자산 물량이 가장 많은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의 경우 전체 제조업 재고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년 2분기 24.7%에서 올해 2분기 27.9%로 비중이 확대됐다.
대한상의는 보고서에서 “최근 재고가 급격하게 늘어난 것은 ① 작년 하반기부터 코로나19 특수 대응 차원에서 공급을 늘렸고, ② 국제유가·원자재가격 급등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이 원자재를 초과 확보해 제품 생산에 투입한데다, ③ 글로벌 공급망 차질로 인해 제품 출하가 늦어진 것이 기본 원인”이라고 꼬집으면서,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로, 글로벌 수요만 받쳐준다면 곧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업들이 기대해 생산량을 보수적으로 조절한 영향도 있다”고 덧붙었다. 하지만 글로벌적인 대외 환경이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지속,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국의 자이언트 스텝의 금리 인상 등으로 글로벌 수요 기반이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제조업 생산지수와 출하지수는 4개 분기 연속으로 감소하고 있다. 여기서 대한상의는, 출하의 감소폭이 생산 감소폭보다 더 커 생산-출하간 디커플링(격차)이 계속 벌어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통상적으로 판매(출하)가 줄어들면 제품이 쌓이고(재고), 기업들이 이에 맞춰 생산을 감소시켜 생산-출하가 비슷한 추세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최근의 생산지수-출하지수 디커플링이 오히려 확대되는 모습이다. 이는 기업들이 판매(출하) 부진에도 불구하고 생산을 탄력적으로 조정하지 못하고 오버슈팅(Over-shooting)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2분기 말부터 기업들이 일부 생산을 조절하고 있으나 재고가 이미 높은 수준이라 3분기부터는 생산 감소가 본격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대한상의는 내다봤다. 기업들이 공장 가동률을 낮추게 되면 유휴 인력이 발생하고 그만큼 고용과 신규 시설투자가 줄어드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이미 상당수 기업은 올해 채용 및 시설투자를 재검토하거나 보류하는 추세다.
대한상의는 “우리 경제는 대외여건의 악화로 인해 수출증가율이 둔화되고 무역적자가 심화되는 등 수출이 타격을 받고 있는데다, 고물가와 금리 인상으로 내수 진작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기업 재고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동안 오버슈팅되어 왔던 생산이 급감할 경우 경기 급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가용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전제하고 “정부가 최근 무역수지 개선, 중장기 수출경쟁력 강화 지원 등 수출 종합 전략을 발표한 만큼 이를 조속히 실행에 옮기는 한편, 코세페(코리아 세일 페스타)·동행세일 등 내수 진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반기 중 마련·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아울러 “기업의 채산성 악화가 생산 감소, 고용·투자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규제·노동·금융·교육 등 구조개혁을 통해 우리 경제의 고비용 구조를 개선해 나가는 것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